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마켓 나우] 누가 버블 붕괴 대처할 희망의 지도자 될까

자본주의 역사는 탐욕과 공포 사이를 시소처럼 오간다.   1920년대 미국은 자동차와 전자기기로 상징되는 신기술의 향연에 취했다. 기술혁신이 가져온 생산성 향상으로 경제는 급성장했다. 미국 경제 총생산은 42% 늘어났고 가계의 부는 두 배로 증가했다. 주식시장도 전례 없는 호황에 들떠 있었다. 1927년에는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는 호재까지 겹쳤다.   1929년 다우존스 지수는 몇 년 전 저점 대비 6배 올랐다. 너도나도 주식을 매수하기 바빴다. 담보대출을 받아 다섯 배에 달하는 레버리지를 일으켰다. 그러나 그해 10월 끝없이 오를 듯하던 주가에 급제동이 걸렸다. 넷째 주 목요일 주가지수가 10% 넘게 하락했다. 그다음 주에도 하락은 이어졌다. 그 후 다우존스 지수는 1932년까지 90% 하락했다.   시장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것은 연준이었다. 주가의 과열을 우려한 연준은 기준금리를 3.5%에서 6%로 올렸다. 보유 채권을 대거 팔아 시중 유동성을 흡수했다. 연준의 긴축은 과도한 부채에 의지해 거품을 키우던 주식시장에 치명적이었다.   주가 폭락의 여파로 은행과 기업이 줄줄이 도산했다. 대공황의 시작이었다. 경제활동 인구 네 명 가운데 한 명이 실직했다. 설상가상으로 전대미문의 거대한 먼지 구름이 중서부 곡창지대를 덮쳤다. 극심한 한발로 농업생산이 많이 감소했다.   농민들은 농지를 찾아 서부로 떠났다. 실업자들 비명이 도시를 가득 채웠다. 불황과 공포로 사람들은 갈팡질팡했다. 이 혼란의 와중에 대통령에 당선된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신뢰와 용기의 회복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생각했다.   1933년 3월 4일 취임사에서 “우리가 두려워할 것은 두려움 그 자체 말고는 아무것도 없습니다”라며 국민을 다독였다. 사회와 경제 개혁에도 착수했다. 뉴딜을 통해 국민에게 필요한 바를 충족시키려 했다. 경제 파탄으로 국민이 공포에 떨 때 정부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범을 보여줬다.   최근에도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낮아지자 금리 인하를 준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주식시장에 다시 가격 거품이 일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여차하면 2000년 닷컴 버블이 재현될 듯한 분위기다.   연준은 주가 상승을 우려하지 않지만, 그로 인한 경기과열은 걱정한다. 버블이 커질수록 금리 인하는 뒤로 밀린다. 고금리가 지속되면 버블 붕괴 가능성도 커진다. 버블이 붕괴하면 어떤 공포가 닥칠지 알 수 없다. 미리 계획하고 대비해야 한다. 희망과 비전을 주는 리더가 더 절실한 이유다. 김성재 / 퍼먼대 경영학 교수마켓 나우 지도자 버블 버블 붕괴 목요일 주가지수 닷컴 버블

2024-01-28

[투자의 경제학] 버블 경고(1)

월가의 전설적인 투자자 제레미 그랜섬(Jeremy Grantham)은 1월20일 자사 GMO의 웹사이트를 통해 미국 증시는 지금 지난 100년 동안 네 번째의 수퍼버블(Super-bubble) 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지금의 수퍼버블은 특히 주식 뿐만 아니라 부동산, 채권도 버블이라고 얘기하며 주택 가격이 가계소득 대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버블 붕괴 가능성이 주식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했다.     그는 또 과거의 버블은 예외 없이 적정한 선까지 후퇴했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며 이 공식을 적용한다면 S&P500 지수가 2500 선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했다.   제레미 그랜섬은 2000년대 닷컴버블(dot com bubble)과 2008년도 금융위기도 예측 한 바 있다. GMO 웹사이트에 직접 들어가서 그의 의견을 직접 읽어보면 설득력있고 논리정연하다.     하지만 다른 측면은 GMO의 관리 자산이 2015년 1180억 달러규모에서 현재 650억 달러로 축소된 이유는 아무래도 버블에 대한 우려로 보수적인 투자틀 하면서 수익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던 투자자들이 이탈해서 그렇지 않나 싶다.     같은 이유로 증권가의 많은 가치투자(Value Investor) 펀드 매니저들이 지수 상승률을 넘지 못하는 수모를 겪어온 것도 사실이다.     내재 가치가 형편없는 밈(meme) 주식들을 포트폴리오에서 제외 시키는 것은 어려운 결정이 아니지만 지속적인 성장이 충분히 예측되는 우량주들이나 주가 상승을 주도해온 테크놀러지 업계의 대표주들에 대해 전설적인 전문가의 이런 무서운 경고를 접한 투자자들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이번에도 지난 몇 년 동안 팬데믹으로 잠시 폭락한 시기를 제외하면 현실화 되지 않았던 여러 번의 주가하락 경고처럼 무시하고 지나가도 괜찮은 것인가?   하지만 이번 경고는 과거 버블의 경고보다 조금 더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의 버블은 과거의 버블보다 거품이 더 많이 들어간 것으로 보이고 금리 정책 환경이 투자 여건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는 이런 상황에서 공격적인 투자에서 방어적인 투자로 자세를 바꿔야 한다.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고평가 주식을 재평가 하면서 최악의 경우에 해당 주식을 계속 보유하며 견뎌낼 수 있을만한 신뢰가 있는지 투자자 자신에게 물어봐야 하겠다.     현금 확보도 중요한 관리 중의 하나다.  실제로 폭락이 일어나면 그때 좋은 주식을 매수할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는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주가 하락이 언제 일어날 지는 그동안 하도 많이 틀려서 예측에 자신이 없다.  하지만 이익을 내는 것보다 손실을 막는게 더 중요하다는 점을 늘 명심해야 한다.     ▶문의: (213)221-4090    김세주 / Kadence 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경고 버블 버블 경고 주가하락 경고 버블 붕괴

2022-02-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